재산세 카드 혜택 및 포인트 받는 법
2025년 7월, 재산세 1 기분 납부가 시작되었습니다. 카드납부 혜택과 절세 전략을 활용하면 세금을 내는 것도 한결 가볍습니다. 주요 카드사 혜택부터 포인트 납부 조건, 전자고지 할인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1. 재산세 납부 정보
- 납부 기한: 1 기분은 7월 16일 ~ 7월 31일 / 2 기분은 9월 16일 ~ 9월 30일
- 납부 대상: 주택, 건축물, 토지 소유자
- 납부 방법: 위택스(we.tax.go.kr), 이택스(etax.seoul.go.kr), 카드사 앱, 은행 앱 등
- 납부 수단: 신용카드, 체크카드, 계좌이체, 간편 결제
- 가산금: 기한 초과 시 3% 가산금 + 매월 0.75% 중가산금 (지자체별 예외로 매월 0.66% 적용되는 곳도 있음)
2. 카드납부 혜택
카드사 |
혜택 내용 |
신청 방법 |
삼성카드 |
1만~2만원 캐시백 2~6개월 무이자 할부 |
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|
국민카드 |
최대 2만원 캐시백 자동납부 등록 시 추가 혜택 |
앱 내 세금납부 메뉴 |
신한카드 |
포인트 납부 가능 무이자 할부 최대 6개월 |
신한페이판 > 생활요금 |
현대카드 |
2~3개월 무이자 1만 M포인트 사용 가능 |
앱 > 지방세 납부 |
롯데카드 |
최대 2만원 캐시백 이벤트 |
이택스/위택스 또는 카드사 앱 |
※ 카드사별 캐시백·포인트 납부 조건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공식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최신 정보 확인 필수
3. 포인트로 납부할 수 있는 카드사
- 사용 가능 포인트: 삼성카드 포인트, 신한 포인트, 현대 M포인트, 하나머니 등
- 제한 사항: 일부 카드사는 10만 원~20만 원 한도 또는 위택스에서만 사용 가능 등의 제한 있음
- Tip: 포인트 납부 시도 전, 카드사 앱 & 납부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 여부 재확인 필수!
4. 전자고지 신청 시 세액공제
- 혜택: 세액공제 500원~1,000원 (지자체별 상이)
- 신청 방법: 카카오톡·네이버·페이코·토스 등에서 고지서 수령 방식 변경
- 주의: 일부 지자체는 두 번 이상 전자고지 시에만 세액공제 적용
5. 납부 시 꼭 확인할 점
- 가산금 주의: 납부기한 초과 시 3% 즉시 부과 + 매월 0.75% 가산세 추가
- 체납 시 불이익: 부동산 압류, 신용도 하락, 차량 번호판 영치 등 가능
- 지자체별 예외: 일부 지자체는 중가산 세율 0.66%로 운영 중 (고지서 하단 참고)
6. 체크카드·가족카드 납부 가능 여부
- 체크카드: 대부분 납부 가능 (은행 계좌 잔액 확인 필수)
- 가족카드: 일부 지자체·플랫폼에서는 본인 명의 카드만 가능
- 대안: 본인 명의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사용 권장
7. 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. 납부 후 취소할 수 있나요?
A. 대부분 불가하며, 지자체 세무과 문의 필요
- Q. 신용카드 수수료가 있나요?
A. 일부 지자체에서 500~1,000원 발생 가능
- Q. 카드 혜택은 자동 적용되나요?
A. 아니요! 대부분 사전 신청 필요합니다.
- Q. 포인트는 어디서 써야 하나요?
A. 위택스/이택스에서만 적용 가능한 경우 많음
- Q. 가족카드로 납부 가능한가요?
A. 지자체 및 플랫폼 따라 본인 명의만 허용되는 경우 있음
✔️ 요약 TIP:
2025년 재산세는
카드 혜택 + 전자고지 + 포인트 납부
까지 모두 챙겨야 손해 없이 낼 수 있습니다. 카드사 혜택은 시기별로 상이하니 신청 전 최신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.
※ 본 포스팅은 2025년 7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카드사 및 지자체 정책은 사전 고지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.
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2025 재산세 언제까지? 조회·납부 한눈에 정리!
2025년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.특히 올해는 마감일이 평일이라 미리 챙겨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어요.이번 글에서 납부일, 분납·감면 대상, 납부 방법까지 꼭 필요한 내용만 정리했습니다
jjilong.com